한반도의 분단? 은 왜? 어째서?분단이 되었던 겁니까?
은 왜? 어째서?분단이 되었던 겁니까?
한반도가 분단된 것은 제2차 세계대전 종전 후의 국제 정세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일본의 패망과 연합국의 한반도 진주: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망하면서 35년간의 한반도 식민 지배가 끝났습니다. 승전국인 미국과 소련은 일본군의 무장 해제와 한반도 내 치안 유지를 명분으로 한반도에 군대를 파견하기로 합의했습니다.
* 38도선 분할 점령: 미군과 소련군의 작전 편의를 위해 미국은 북위 38도선을 기준으로 남쪽은 미군이, 북쪽은 소련군이 점령하여 일본군의 무장을 해제하기로 제안했고, 소련이 이를 수락했습니다. 이 38도선 분할은 원래 군사적인 편의를 위한 임시적인 조치였습니다.
* 냉전의 시작과 이념 대립 심화: 하지만 제2차 세계대전 종전 후 미국 중심의 자본주의 진영과 소련 중심의 공산주의 진영 간의 냉전이 본격화되면서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미국과 소련은 각자의 점령 지역에서 자신들의 이념에 맞는 정부 수립을 지원하려 했고, 이로 인해 38도선은 단순한 군사 분계선을 넘어 정치적, 이념적 분단선으로 굳어지기 시작했습니다.
* 통일 정부 수립 실패: 한반도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모스크바 3상회의(1945년 12월) 등 국제적인 노력이 있었고, 미소공동위원회도 열렸지만, 미국과 소련의 입장 차이와 한반도 내 좌우익 세력 간의 극심한 대립으로 통일 정부 수립은 실패했습니다.
* 남북한 단독 정부 수립: 결국, 통일 정부 수립이 어려워지자 1948년 8월 15일, 남한에는 미국의 지원을 받은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었고, 1948년 9월 9일에는 북한에 소련의 지원을 받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가 수립되었습니다. 이로써 한반도는 두 개의 국가로 공식적으로 분단되었습니다.
* 한국전쟁 발발: 1950년 6월 25일 북한의 남침으로 한국전쟁이 발발하면서 남북 간의 적대감은 더욱 깊어졌고, 1953년 정전 협정으로 전쟁은 멈췄지만, 휴전선이라는 새로운 군사 분계선이 생기면서 분단은 더욱 고착화되었습니다.
요약하자면, 한반도의 분단은 일본 패망 후 연합국(미국, 소련)의 군사적 편의에 의한 임시적인 38도선 설정에서 시작되었으나, 이후 냉전 심화라는 국제 정세 속에서 미국과 소련의 이해관계 대립, 그리고 한반도 내부의 이념 갈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통일 정부 수립에 실패하고 남북한에 별도의 정부가 수립되면서 지금까지의 분단으로 굳어진 것입니다.
채택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글 목록으로 돌아가기